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산업안전보건법] 작업장 관리 기준 및 안전 수칙 (유첨 확인)

안전이 최우선이다.

by 너만살 2025. 3. 27. 12:29

본문

반응형

작업장 관리 기준 및 안전 수칙

작업장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따른 작업장 관리 규칙을 정리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와 그 예방 대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반응형

1. 작업장 정리정돈 및 바닥 관리

작업장 바닥의 물기, 윤활유, 원재료 적재 등은 근로자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의 주요 원인입니다.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.

  • 바닥의 물기 및 기름기 제거
  • 통로에 자재 및 가공품 적재 금지
  • 안전통로 확보 및 구획 표시
  • 미끄럼 방지 안전화 착용

근로자의 전도 예방 근로자가 평면 또는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는 중대한 재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안전한 통로를 이용하고, 기름기와 같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2. 제품, 자재, 부재 등의 전도 예방

자재나 시설물이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
  • 자재 적재 시 안전기준 준수
  • 강풍 등 외부 요인에 대비한 고정 조치
  • 중량물 취급 계획 수립
  • 미끄럼 방지 안전화 착용

사례: 윤활유로 오염된 기계설비에서 발생한 사고 어느 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오염된 배관을 밟고 이동하다가 미끄러져 머리를 부딪쳐 사망한 사례가 있습니다. 이는 정상적인 통로를 이용하지 않고 위험 요소를 방치한 결과로, 기름기 제거 및 안전한 통로 확보가 필수적입니다.


3. 작업장 청결 유지

작업장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, 분진 및 오염물 제거 조치가 필요합니다.

  • 분진 발생 억제: 습식 작업, 물 뿌리기
  • 분진 확산 방지: 배기 시설 및 집진기 사용
  • 바닥 및 벽 정기적인 세척 및 소독
  • 폐기물은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

4. 채광 및 조명 관리

조명이 불량하면 근로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, 시력 감퇴 및 작업 효율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적절한 조명을 유지해야 합니다.

  • 초정밀 작업: 750 럭스 이상
  • 정밀 작업: 300 럭스 이상
  • 보통 작업: 150 럭스 이상
  • 일반 작업: 75 럭스 이상
  • 눈부심 방지 및 균형 잡힌 조명 배치

5. 작업발판 활용

근로자의 작업 자세에 맞게 기계설비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작업발판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.

  • 무리한 자세 방지
  • 작업 발판 설치 시 높이 및 안정성 고려
  • 안전한 작업자세 유지

결론

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대부분 정리정돈, 청결 유지, 안전 수칙 준수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.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산업안전보건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.

안전한 작업장을 위해 위의 사항들을 실천해보세요!

[2024-교육혁신실-817] [기준규칙] 총칙_작업장 관리.pdf
1.70MB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